inside out(이면탐구자) : ulterior
구부러진 철사가 검은 선을 긋듯 캔버스 위로 늘어져 있다. 관람자의 작은 움직임에도 전시장 조명이 만들어낸 이 선의 그림자가 미세하게 진동한다. 앙상하고 호젓한 몇 가닥 철사가 파동하는 공간의 존재를 호출하는 순간이다. 홍정욱의 설치 작업이 그 초기부터 겨냥해온 바, 캔버스의 요철을 둘러싼 공간과 힘이라는 외재적 요소의 역할이 두드러진다.
홍정욱의 설치 작업은 회화적이다. 신석기시대 토기에서 이전에 쓰인 가죽 그릇의 솔기 흔적이 남듯, 그의 오브제와 설치 작품마다 회화적 요소를 찾을 수 있다. 회화적 논리에 기반해 작업해왔다는 말인데, 이때 회화적 논리라 함은 그가 회화를 전공했을 뿐 아니라 입체 및 설치 작업으로 확장된 작업 세계를 회화 어휘로 설명해왔기 때문이다. 모더니즘적 회화론의 물질성과 평면성에 관한 반성적 사유와 궤를 같이 하되, 홍정욱 작가의 경우는 더 나아간다. 선, 색면, 빛의 회화적 요소뿐만 아니라 캔버스를 둘러싼 상황, 전시장의 형태와 조건, 심지어 수용자 또는 관람객을 끌어들이는 미디어론 등으로 확장된 독법을 요구한다.
실제로 그의 설치물과 오브제는 전시장 전체를 화폭으로 상정한 회화적 요소로 기능한다. 캔버스 프레임을 떠난 선은 삼각, 사각, 원이라는 기본 형태가 진화하고 이들은 다시 부풀고 중첩되며 입체 설치물이 된다. 거울 조각으로 입면체를 마감해 전시장 바깥 풍경을 작품 자체로 끌어들이거나 다시 캔버스 천을 씌워 요철이 강조된 촉각적 구조물로서 공간과 조응하기도 한다. 이는 캔버스 프레임의 해체와 재구성이자 선과 면이 뒤섞이는 드로잉의 흔적이기도 하다.
이번 전시에 출품된 설치 작업 또한 회화적 요소를 다룬 조형적 실험이다. 하지만 기존 작업이 공간과 힘을 겨루듯 확산되는 형식이었다면 이번 설치작에서는 색면과 빛이 강조된 자족적 수렴의 형태로 변화가 감지된다. 신소재로 마감된 입면체는 이중 조명 아래서 그 구조를 드러내고 작품 뒷면에 채색된 형광색 빛은 전시장 벽으로 은은히 스며든다. 공간을 상대로 파동하던 빛은 이제 입면체의 내부로 파고들뿐 아니라 전시장의 구조가 만들어낸 사각지대마저 남김없이 침투한다. “실제 작품(object)과 조명(light), 그리고 그림자(shadow)를 통해 숨겨진 이면(ulterior)을 드러내는”(작가의 ‘작업 계획서’) 것이다. 작품의 안과 밖이 뒤섞이는 이 생생한 현장은 작가가 자신의 과제와 팽팽히 맞서고 있음을 증언한다. 그리하여 자신의 설치 작업을 거대한 유사 캔버스로 환원시키는 작가의 집요함을 새삼 확인하게 된다.
글_강상훈_Sanghoon Kang(스페이스 오뉴월)